국내외 경제 이슈 톺아보기

트럼프 2.0 시대에 중국 반도체주가 오르는 다섯 가지 이유

안차차 2025. 1. 23. 07:07
728x90

트럼프 2.0 시대에 중국 반도체주가 오르는 다섯 가지 이유

중국 반도체주가 고공행진 중입니다. 중국의 대표 반도체 기업인 SMIC(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ternational Corporation, 중신궈지), 화홍반도체, 웨이얼반도체, 북방화창 등을 비롯해 반도체 업종이 전체적으로 상승세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에도 중국 반도체주가 오를 것으로 기대되는 다섯 가지 이유를 소개합니다.

 

1. 중국 정부의 반도체 굴기 정책

중국 정부는 십여년 전부터 반도체 산업을 국가 핵심 전략으로 설정하고 대규모 펀드를 설정해 투자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보조금과 세제혜택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입니다. 특히 2015년 발표한 '중국제조 2025'와 같은 정책으로 반도체 자급률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중국의 반도체 굴기는 국가적인 목표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미국과의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면 반도체 기술을 확보하고 자급률을 높이려는 노력은 한 층 더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중국 반도체 기업의 수익성을 높이고 투자 심리를 개선하는 동력입니다.

728x90

2. 미중 기술 채권 경쟁 심화

미국의 대중 첨단산업 제재는 중국의 산업 발전을 어렵게 만드는 동시에 촉진합니다. 이율배반적인 일이지만 사실입니다. 미국이 수출 규제의 수위를 높일수록 단기적으로 중국 반도체 산업에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지만, 장기적으로는 정부의 산업 촉진 정책을 활성화시켜 반도체 기업의 수익성 개선과 기술 개발을 촉진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대중 압박의 수위를 높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국에 고율 관세를 요구하고 견제하는 모습을 전면에 내세우는 만큼 공약만큼은 아니더라도 압박과 관세는 실현될 수 있습니다. 그럴수록 중국 정부는 경기 부양책의 규모를 키우고 중국 반도체 기업을 지원해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려 할 것입니다.

 

3. 내수 시장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

중국은 세계 최대의 반도체 소비국입니다. 전 세계적으로도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반도체 수요가 크게 늘고 있는데요. 마찬가지로 중국도 AI 개발 열풍과 함께 전자기기 및 통신기술의 급성장, 5G 인프라 확대,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사물인터넷(IoT) 기기의 수요 증가가 반도체 수요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중국이 미국의 수출 제재에 대비해 공급망을 재편하는 것도 기회입니다. 정부 주도로 반도체 자급률이 올라갈수록 중국 반도체 기업들은 더 큰기회를 갖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내수시장의 안정적인 수요와 반도체 제품 생산국을 자국으로 대체하려는 흐름은 중국 반도체 기업의 매출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중국 반도체 기업의 자체 연구개발

중국 반도체 기업들은 기술 자립도를 높이기 위해 자체 연구개발(R&D)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중국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SMIC의 경우에는 14나노 공정을 상용화했고, 이를 기반으로 7나노급 기술에 다가가는 중입니다. 물론 TSMC와 삼성전자 등이 이미 수년전에 상용화한 기술인데다 훨씬 앞서 있기는 하지만 미국의 첨단산업 제재를 뚫고 이뤄낸 성과라는 점에서 눈여겨볼만 합니다.

 

아직까지 SMIC의 반도체 기술 수준이 글로벌 선두기업을 따라잡았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특히나 SMIC는 미국 수출규제로 극자외선(EUV) 리소그래피 장비를 확보하지 못해 기술 수준을 높이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반도체 설계 및 생산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투자금도 대거 투입되는만큼 기술 발전과 혁신에 대한 기대감은 주가를 밀어올리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5. 글로벌 반도체 수급 불균형 현상

중국 반도체 기업은 세계적인 반도체 부족 현상 속 해결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첨단 기술은 뒤떨어지지만 저가 반도체에서는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서입니다. 차량용 반도체, AI 데이터 센터용 반도체, 가전제품용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에서 반도체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중국 기업들도 생산을 확대하면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는 추세입니다.

 

중국 반도체 대표 기업인 SMIC는 28나노 이상의 성숙 공정에서 안정적인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반도체 기업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반도체를 공급해 매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중국 반도체 기업이 수급 불균형 현상을 틈타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는 동시에 내수 시장에서 기존 업체를 대체해가며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입니다.

 

제가 작성하는 모든 글은 특정 종목이나 자산에 대한 투자를 권유하려는 목적이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