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무에서 백만장자처럼 쇼핑하세요! 전 세계를 휩쓴 '테무 열풍'의 주인공인 PDD홀딩스는 이런 광고 문구로 유명합니다. 마케팅비를 마구마구 써서 테무를 홍보해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이 테무에 푹 빠졌었죠. 그게 사회적/환경적으로 좋았는지 나빴는지를 떠나서 급성장한 기업인 건 사실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테무 열풍의 주인공인 PDD홀딩스의 △종목 개요 △실적 △투자 포인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DD홀딩스(NASDAQ:PDD) 종목 개요
주가 100.32달러(1월 8일 기준)
시가총액: 1393억달러(약 203조 7576억 원)
주가 수익률: 1년 -33.33%, 5년 161.11%, 상장 이후 307.80%
주가수익비율(PER): 10배
PDD홀딩스(중국명 핀둬둬, 拼多多)는 중국의 전자상거래 업체입니다. 중국 내에서는 공동구매로 인기를 끌었던 핀둬둬, 중국 외에서는 직구 플랫폼으로 유명한 테무를 운영 중입니다. 가성비를 내세웠다는 점에서 알리바바, 징동닷컴과 같은 사업모델인데, 마케팅비를 많이 지출해 빠른 속도로 성장하면서 주목받았습니다.
PDD홀딩스의 성장세는 2023년에 가장 빛났습니다. 매출 규모는 알리바바나 징동닷컴과 비교하면 작았지만 뛰어난 성장세를 보이면서 2023년 말에는 알리바바, 징동닷컴의 시가총액을 제쳤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2분기 성장성 둔화 논란이 불거지며 하루 만에 28.51% 내리는 등 주가가 하락세를 탔습니다.
실적: 두 자릿수 성장에도 어닝 쇼크... 2분기 불거진 '성장성 둔화' 논란
2024년은 PDD홀딩스에게 힘든 한 해였습니다. 분기 기준 매출/순이익 두 자릿수~세 자릿수 성장을 이어갔지만 '성장성 둔화' 논란이 있어서입니다. 분명 1분기까지는 분위기가 참 좋았는데 2분기부터 분위기가 안 좋아졌습니다.
2024년 1분기 매출 전년 동기 대비 130.66% 늘어난 868억 1200만 위안, 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245.61% 늘어난 279억 9800만 위안.
2024년 2분기 매출 전년 동기 대비 85.65% 늘어난 970억 6000만 위안, 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144.20% 늘어난 320억 900만 위안.
2024년 3분기 매출 전년 동기 대비 44.32% 늘어난 993억 5400만 위안, 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60.78% 늘어난 249억 8100만 위안.
투자 포인트: 여전히 테무는 전 세계에서 고속 성장 중
PDD홀딩스뿐만 아니라 알리바바, 징동닷컴 등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부진의 배경에는 경기 침체가 있습니다. 중국 소비가 둔화돼서 중국 내 사업에서 성장을 도모하기가 어려워졌고 시장 점유율 경쟁 때문에 저가 경쟁, 출혈 경쟁이 심해졌습니다.
테무 사업 전망도 어두워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테무 상품이 뽑기, 랜덤박스라는 인식이 있고 안전 우려도 있죠.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유럽 등 세계 각국에서 제재 리스크에 직면해 있고,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고율 관세도 악재입니다.
일각에서는 테무 실적이 여전히 고성장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합니다. 2024년 1~3분기 성적표를 보면 여전히 두 자릿수~세 자릿수 성장을 하고 있으니까요. 문제는 성장성이 둔화되고 있다는 점인데, 반전을 꾀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제가 작성하는 모든 글은 특정 종목에 대한 투자를 권유하려는 목적이 아닙니다. 국내외 기업과 경제 상황에 대해 인사이트를 드리기 위해 작성하는 글인 점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국내외 경제 이슈 톺아보기 > 홍콩, 중국, 대만 주식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목 탐구]하이얼(600690.SHA) 실적, 주가, 투자 포인트 총정리 (1) | 2025.01.12 |
---|---|
[종목 탐구]팝마트(09992.HK) 실적, 주가, 투자 포인트 총정리 (1) | 2025.01.11 |
[종목 탐구]중국 대표 백주, 구이저우마오타이(600519.SHA) (3) | 2025.01.09 |
[종목 탐구]중국판 다이소, 불황형 소비 미니소(09896.HK) (1) | 2025.01.08 |
[종목 탐구]한국인 원픽, 홍콩 대장주 텐센트(00700.HK) (1) | 2025.01.07 |